우리는 매일같이 다른 사람을 만나서 그를 판단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립니다. 금융회사의 전문설계사와 상담한 펀드에 가입하거나, 면접을 치러 직원을 뽑습니다. “그런데 펀드는 고수익을 냈는가? 면접점수가 높았던 구직자가 능력 있는 팀원인가?” 이런 질문들에 어떤 답을 있는지 돌아보게 하는 글과 만났습니다.

한국경제신문 320일자 A26 기사 행동의 맥락간과하면 문제가 위기로 커진다>는 우리가 타인을 판단할 어떤 오류를 저지르며, 그러는지를 조목조목 일깨워줍니다. “ 우리는 타인을 파악하는데 서투른가? 경찰은 무고한 사람을 체포하고, 판사는 지은 사람을 석방한다. 믿었던 외교관은 타국에 기밀을 팔고, 촉망받던 펀드매니저가 투자자에게 사기를 친다.”

미국 저널리스트인 말콤 글래드웰은 우리가 타인을 잘못 판단해 일을 그르치는 이유로 가지를 꼽습니다. 첫째, 타인이 정직할 것이라고 가정한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대학 풋볼팀 코치가 소아성애자로 밝혀지는데 제보 이후 판결까지 16년이 걸린 사건이 전형적인 예입니다. 미국 CIA(중앙정보부)에서 쿠바를 위해 일해 스파이의 정체가 탄로 나는데도 년이 걸렸습니다.

사건의 공통점은 동료들이 적극적으로 그들을 두둔했다는 것입니다. 글래드웰은 이유를 인간의 본성에서 찾습니다. 인간의 의식구조가 그렇게 설계돼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결정적 증거가 나타날 때까지, 믿을 없을 때까지 믿는다. 부주의해서가 아니라, 대부분 인간이 그렇게 설계돼 있어서다.”

둘째, 우리는 대부분 타인의 태도와 내면이 일치한다고 착각합니다. “피의자를 만난 판사와 범죄기록만 가진 인공지능 중에 누가 보석 결정을 잘할까? 히틀러를 만난 영국 총리 체임벌린과 히틀러의 책만 읽은 후임 총리 처칠 중에 누가 히틀러를 제대로 파악했는가?” 판사는 피의자가 반성하는 같았으며, 체임벌린은 히틀러가 평화를 사랑하는 같다고 봤습니다. “결과가 어땠는가? 판사는 기계와의 대결에서 참패했고, 히틀러는 전쟁을 일으켰다. 인간은, 특히 타인은, 결코 투명하지 않다.”

글래드웰은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줄 방법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한계를 깨닫는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관점과 배경을 이해하고 자신과 다른 타인에게 말을 거는 말고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다른 사람이진실하다 믿는 최선의 가정(假定) 현대사회를 만들어낸 속성이기 때문입니다. “타인을 신뢰하는 우리의 본성은 때때로 비극을 만든다. 하지만 대안으로 신뢰를 포기하는 것은 나쁘다.”

모든 코치가 소아성애자라는 의심을 받게 되면 어떤 부모도 아이가 밖으로 나가게 하지 않을 것이며, 누구도 코치를 맡겠다고 자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기본적인 신뢰가 전제되지 않으면 사회가 제대로 굴러갈 없습니다. 그게 인간사회의 숙명입니다. “우리는 낯선 이를 해독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가지 단서를 설렁설렁 훑어보고는 다른 사람의 심중을 쉽게 들여다볼 있다고 여겨서는 된다는 것입니다. “당신이 모르는 사람을 만났을 알아야 하나의 진실은 이것이다. 낯선 사람은 쉽게 없다.”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이학영

Posted by dal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