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탕을 만드는 과정에서 파생된 제품이 지금까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간식으로 즐겨 먹는 캐러멜이다. 캐러멜은 아랍어로 '달콤한 소금으로 만든 공' 이라는 뜻의 '쿠라트 알 밀' 에서 유래했다. 아랍인 들은 설탕과 캐러멜을 만들어 세계 각국에 수출했는데,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었는지 “설탕은 아랍인들이 생산하는 금과 같다”는 말까지 나돌았다고 한다. 반면 로마제국이 멸망한 후 유럽인들은 설탕을 맛보기 어려웠다. 그러다가 서기 1097년부터 시작한 십자군전쟁 때, 중동으로 쳐들어간 십 자군이 설탕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꿀벌을 이용해 힘들게 얻어낸 꿀이 아니면 단맛을 맛볼 수 없던 유럽인들은 설탕의 달콤함에 빠져들었다. 1099년 2월, 십자군은 동맹을 제안한 이슬람 세력 트리폴리공국에 사절단을 보냈다가, 그곳에서 설탕을 만드는 작물인 사탕수수 농장을 보았다. 이에 설탕을 얻을 수 있다는 욕심에 트리폴리공국의 동맹 제안을 무시한 채 2월 14일 트리폴리공국으로 쳐들어갔을 정도다. 당시 중동에서는 정치적 내분이 극심해 각 지역마다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어 서로 다투고 있었던 터라, 개중에는 트리폴리공국처럼 십자군과 손잡으려는 집단도 있었다. 그런데 십자군은 설탕을 얻는 재료를 보자마자 동맹 제안을 뿌리치고 다짜고짜 전쟁을 걸어왔을 만큼 설탕을 중요시했다. 십자군의 공격은 3월 13일에 격퇴되었으나 그로부터 9년 후인 1108년 십자군은 다시 트리폴리공국을 침공했다. 트리폴리공국의 수도인 현재 레바논의 도시 트리폴리는 1년 동안 십자군에 포위당했고, 통치자와 주민들이 거세게 저항했지만 1109년 7월 12일 십자군에 함락 당하고 말았다. 10년 동안이나 트리폴리를 얻기 위해 전쟁을 벌일 만큼 십자군은 설탕에 집착했다.
- 1815년의 워털루전투에서 패배한 나폴레옹은 몰락했으나 그가 추진한 사탕무 재배 산업은 계속 확충되었다. 사탕무는 사탕수수보다 훨씬 빨리 자라 설탕을 더 많이 추출할 수 있었고, 설탕 가격도 사탕수수에 서 추출하는 것보다 훨씬 낮았다. 게다가 사탕수수처럼 덥고 습한 기 후에서만 자라는 것이 아니라 유럽처럼 비교적 서늘한 곳에서도 잘 자 랐기 때문에 설탕을 얻는 데 효율적이었다. 사탕무를 포함해 무 종류의 식물들은 빨리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삼국지연의》로 유명한 중국 촉나라의 재상 제갈량도 병사들에게 무를 길러 먹게 했을 정도였다. 이처럼 유럽에서 사탕무를 이용한 설탕 정제산업이 자리잡자, 사탕 수수 재배에 경제의 대부분을 의지해온 카리브해 지역은 큰 타격을 받 았다. 특히 가뜩이나 프랑스로부터 막대한 배상금 요구를 받고 시달리던 아이티는 회복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다. 사탕무 재배가 확충되면서 더 이상 사탕수수 재배를 위해 흑인 노예 를 부릴 필요가 없어지자 유럽 국가들은 노예제도를 폐지하기 시작했다. 겉으로야 인권을 내세웠지만, 정작 인권을 외친 프랑스혁명 때도 흑인 노예를 억압하기 위해 군대를 보낸 것을 떠올려본다면, 유럽 국가들이 노예 제도를 폐지한 진짜 이유는 사탕무 재배로 인해 노예사업이 수지타산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봐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흑인 노예들은 사탕수수 때문에 고통 받다가 사탕무로 자유를 얻은 셈이었다.
- 후추의 판매를 통해 막대한 부를 벌어들이는 이슬람 세계는 그 부를 질투한 유럽 사람들의 위협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로마제 국이 무너지고 수많은 왕국들이 난립하는 혼란기를 겪은 유럽 사람들은 예전보다 후추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로마처럼 강력한 지배와 통제력을 가진 국가체제가 무너지고 그보다 훨씬 약한 수많은 나라들이 서로 아옹다옹하는 상황이라서, 유럽인들 스스로가 후추의 원산 지인 인도나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직접 후추를 사러 가지 못하고, 대신 아랍 상인들이 가져온 후추를 살 수밖에 없었다. 아랍 상인들이 바보나 자선사업가가 아닌 다음에야 그들이 먼 나라에서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을 들여 어렵게 가져온 후추를 유럽 사람들에게 싼값에 팔 리가 없었다. 비싼 값에 후추를 사들이던 유럽인들은 내심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 후추를 보다 싼값에 더 많이 얻으려는 욕망을 품었는데, 그런 목적으로 벌어진 그들의 대외 팽창이 십자군전 쟁과 대항해시대였다.
- 오늘날 반중 정서가 강한 우리 사회에서 조공은 옛날 중국에 바친 굴욕적인 상납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였다. 중국은 우리나라에 가급적 조공을 하러 오 지 말라고 했던 데 반해 우리나라는 오히려 조공을 자주 하려고 애썼다. 이는 우리나라의 지배층이 비굴하거나 어리석어서가 아니라 조공이 그만큼 남는 장사였기 때문이다.
몇 가지 사례만 들어본다면, 1019년 고려가 귀주대첩에서 요나라의 군대를 물리치고 두 나라의 국교가 정상화되자, 고려는 1년에 여섯 번 이나 요나라에 조공하러 사신들을 보냈다. 요나라를 이기고 나서도 조공하러 사신들을 보낸 고려가 비굴한 겁쟁이로 비칠 수도 있지만 실상 은 그렇지 않았다. 당시 정황을 기록한 《송사》나 《요사》 같은 중국의 역사서를 보면, 고 려 사신들이 자주 요나라에 오자 요나라에서는 그들을 접대하고 보답으로 선물을 장만하느라 요나라 백성들의 등골이 휠 지경이었다. 심지어 요나라에 간 고려 사신들이 요나라 관리들의 접대가 형편없다면서 그들에게 행패를 부리는 장면까지 기록되어 있다. 만약 고려가 요나라에 비굴했다면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이러한 사정은 송나라도 마찬가지였다. 고려는 송나라에도 조공을 했는데, 고려 사신이 송나라의 수도인 개봉에 가서 황제를 만나면, 그 들이 가져온 조공품보다 황제로부터 10배나 더 많은 양의 선물을 받았 다. 이를 동양사에서는 회사(賜)라고 부르는데, 조공을 받는 나라가 조공을 보낸 나라에 그만큼 더 많이 주는 것이 관행이었다. 보통 회사는 조공 물품보다 3배 이상 많은 양을 주었는데, 송나라로서는 고려가 각별히 중요한 나라여서 정성 들여 대접했다. 이렇게 고려 사신이 올 때마다 송나라에서 막대한 선물을 계속 주자 그만큼 송 나라 경제에 부담이 되었고, 송나라의 학자 소동파는 “고려 사신들이 와도 우리한테 아무런 이득이 안 되고, 그들을 접대하느라 나라 경제에 부담이 늘어나 송나라 백성들의 고생이 크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송나라 이후에 들어선 명나라와 고려 이후에 들어선 조선의 관계도 마찬가지였다. 명나라 역시 조선의 조공품이 오면 그보다 더 많은 양의 회사를 주었는데, 한 예로 1404년 조선이 명나라에 말 3천 마리를 조공하자 명나라는 1만5천 필의 비단으로 회사했다. 이렇게 조선에 명나라 비단이 많이 풀리자 조선의 하인이나 노비들도 비단 옷을 입고 다닐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게다가 조공을 하면 회사만 얻는 것이 아니었다. 보통 조공 사절단에는 무역 상인들도 끼어들기 마련이다. 이들이 중국에 가면 한반도 의 특산품인 인삼이나 홍삼 등을 중국 상인들과 거래하면서 중국의 비단이나 은 등을 샀고, 이를 조선에 돌아와 팔아 더 많은 차익을 거두었 다. 조공은 일종의 무역이기도 했다. 조공은 중국이 우리나라를 착취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나라가 중국을 상대로 큰 이득을 보는 무역이었다고 봐야 적합하다. 그런 의미에서 중국과 우리나라에 “왜 유럽처럼 해외 식민지를 개척 하러 군대를 보내지 않았느냐? 이는 중국인과 한국인이 유럽인보다 게 으르고 나약하기 때문이다” 라고 비난하는 의견은 현실을 살피지 못한 인종차별적인 편견에 불과하다.
- 우리나라에 밀이나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대략 고려시대, 중국 북송 왕조와의 교류를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한반도는 밀을 재배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기후여서, 한반도에서 생산되는 밀가루의 양은 매우 적었다. 1950년에 벌어진 한국전쟁 무렵, 미국에서 무상으로 밀가루를 대규모로 원조해주기 전까지 한반도에서 밀가루는 거 의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매우 비싼 식재료였고, 밀가루로 만드 는 음식들 역시 부유한 권세가 아니면 생일이나 잔칫날에 맛볼 수 있었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상에서 즐겨 먹는 수제비도 조선 왕실에서나 먹은 고급 음식이었다.
- 고려 말의 속요 <쌍화점>에 “샹화점에 샹화를 사러 갔다” 라는 말이 언급되는데, 샹화는 만두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를 보아 고려 말에 이미 한반도에서 만두가 팔리고 사람들이 그것을 사서 먹었음을 알 수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밀가루 음식으로 국수가 자주 등장했다. 단, 국수 역시 생일이나 잔칫날 같은 특별한 기념일에나 먹을 수 있는 귀한 요리였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국수를 만드는 밀가루 대부분이 중국에서 수입한 비싼 재료였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조선시대에는 지방관 들에게 대접하는 음식에서 국수를 빼라는 지시가 내려오기도 했다. 국 수를 장만하기 위해 백성들이 너무 고생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중종실록》 1539년 10월 8일)
- 18세기 프랑스에서 혁명을 꿈꾸던 사람들이 카페에 들러 커피를 마시며 대화를 나누었던 것처럼 19세기 미국에서도 커피는 수많은 이들에게 널리 사랑을 받는 음료였다. 다만 미국에서 커피를 주로 마시는 사람들은 지식인이 아니라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었다. 그들이 커피를 즐겨 마셨던 이유는 노동자를 부리는 기업주들이 그렇게 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커피가 미국에 들어오기 이전까지 노동자들은 점심시간에 맥주나 와인을 식사에 곁들여 마셨다. 이런 술 문화는 미국뿐 아니라 미국의 뿌리인 유럽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맥주나 와인은 엄연히 술이기 때문에 아무리 도수가 낮아도 마시면 취하게 마련이다. 점심시간에 맥주와 와인을 마신 노동자들 중 많은 수가 취해 제대로 일하지 못한 탓에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경우가 잦았다. 그런데 커피가 들어오면서 노동자들은 술에 취하지 않고도 멀쩡한 정신으로 작업할 수 있었고, 덕분에 예전보다 일의 능률이 올라갔다. 기업주 입장에서는 고용한 노동자들이 술보다 커피를 더 마시기를 바랄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 이유는 미국에 퍼진 금주운동으로 인한 반사이익이었다. 미국은 영국에서 달아난 청교도들이 세운 나라였고, 그 때문에 다른 유 럽 국가들보다 엄격한 종교적인 금욕주의가 사회에 더 강하게 퍼져 있 었다. 이런 까닭에 미국에서는 일찍부터 술을 마시지 말자는 금주운동 이 일어났는데, 금주운동을 벌이던 단체들은 “술에 찌들어 알코올중독 자가 되느니 차라리 카페에 가서 커피를 마셔라!” 라는 구호를 외치며 커피 마시기를 권유했다. 여담이지만, 미국의 금주운동으로 인해 탄생한 음료수가 코카콜라였다. 미국 남부 도시 애틀랜타의 약사 존 펨버턴이 발명한 코카콜라는 코카나무 열매를 빻은 가루와 코카인을 레드 와인에 때마침 애틀랜타에서 금주운동이 한창 진행됨에 따라 와인을 포함한 모든 술을 팔 수 없도록 법이 만들어졌다. 그러자 존 펨버턴은 고민 끝에 레드 와인을 빼고 대신 탄산수를 넣은 무알코올 탄산음료로 개량해 1886년 5월 출시했다. 비록 알코올은 빠졌으나 마약의 일종인 코카인 이 들어간 코카콜라는 마시면 기분이 좋아졌고,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그러다가 20세기 초부터 코카인의 해로움이 알려지면서 코카인이 들어간 음료가 금지되었고, 1903년 코카인이 빠지고 대신 카페인이 들어 간 코카콜라가 나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커피나 코카콜라 모두 카페인이 들어갔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음료 수 모두 술을 대신해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공통된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바꾼 10대 그들은 무엇이 달랐을까  (0) 2021.01.09
하드코어 히스토리  (0) 2020.12.29
물류는 세계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0) 2020.09.25
음식경제사  (0) 2020.07.22
인간의 흑역사  (0) 2020.06.21
Posted by dal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