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합리적 사고를 포기했는가'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1.24 우리는 합리적 사고를 포기했는가

 


우리는 합리적 사고를 포기했는가

저자
버트런드 러셀 지음
출판사
푸른숲 | 2008-01-30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합리적 회의주의자가 되라! 우리는 합리적 사고를 포기했는가는 ...
가격비교

- 러셀이 주장하는 회의주의는 첫째,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경우, 비전문가는 그에 반하는 의견은 의심해야 한다. 둘째, 전문가들이 동의하지 않는 경우 그에 대한 어떤 의견도 비전문가는 사실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셋째, 전문가들이 받아들일 만큼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는 의견이라면, 비전문가는 그에 대한 판단을 중지해야 한다.
- 사고의 세계에는 위험한 바다가 있다. 이 바다를 항해할 수 있는 유일한 이들은 자신의 물리적 무력함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우리가 이 바다를 여행하게 될 때 그 무엇 보다도 환한 태양을 가리고 인간을 끝없이 비굴하고 잔인하게 만드는 공포라는 압제자에게서 해방될 것이다. 자신이 세계에서 처한 위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용기가 없는 이는 그 누구도 이 공포에서 해방될 수 없다. 자신의 왜소함에 대범할 수 있는 자만이 자신이 가진 위대함을 펼칠 수 있는 것이다.
- 교육, 언론, 정치, 종교, 다시 말해 세상의 온갖 권위 집단들은 지금 비이성적이다. 대중의 왕(민주주의의 저급한 형태인 대중 민주주의를 비꼰 표현)을 미궁에 빠뜨리기 위해 아부를 일삼는 소인배들이 모든 것을 주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의 해결책은 획기적이고 멋있는 방법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한사람 한사람이 사회와 타인에 대해 좀더 이성적이고 조화로운 시각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가 겪는 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처럼 바로 인간이 가진 지성의 힘을 빌려야 한다.
- 중국은 현명한 정부가 들어섰을 때 얻게될 이익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고 자기통제, 자비, 예의 등의 가치를 내세운 유교이념을 선호했다. 중국인들은 현대서구 국가들처럼 이론과 실천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물론 중국인들은 항상 이론을 따라 실천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또 그러기 위해 노력한다. 이에 반해 서양 기독교 윤리는 이 악한 세상에서 실천하기에는 매우 고상하다는 것이 보편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 중국인들이 추구하는 것이 이라면 서구인들이 추구하는 것은 힘이다. 서구인들은 동포보다도 힘을 좋아할뿐더러 자연보다도 힘을 숭배한다. 그래서 강력한 국가가 들어섰고 과학이 융성했다. 중국인들은 이런 일들을 벌이기에는 너무 게으르거나 혹은 성격이 너무 좋다. 여기서 중국인이 게으르다는 말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들은 먹고 살기 위해 열심히 일을 하기 때문에 중국인들을 노동자로 둔 고용주들은 한결같이 읻르이 근면하다는 것을 알게된다. 그러나 일을 안하면 삶이 무료해질까봐 열심히 일하는 서유럽인들이나 미국인들처럼 일하지는 않는다. 또한 부산떠는 것 자체가 좋아 부산을 떨지도 않는다. 먹고 살게 충분한데도 더 얻기 위해 미친듯이 일을 하지도 않는다. 이들은 극장에 가고 차를 홀짝이며 대화를 나누고 옛 중국 예술작품을 감상하거나 풍경이 빼어난 곳을 거니는 여흥을 즐기는 데 거의 무한한 자질을 타고 났다. 서구인들에게는 이런 것이 왠지 삶을 매우 수뤌하게 사는 것 같다. 알고보면 나쁜일만 저지르면서도 회사에 매일 출근하는 사람이 서구에서는 존경을 받는다.
- 자신들 도덕권위자로 여기는 서양인은 평범한 기쁨을 거부한 채 다른 사람들의 기쁨에 훼방을 놓는 자들이다. 서양인들은 유덕한 이는 참견하기 좋아한다고 생각한다. 다시말해 많은 사람들을 짜증나게 하는 인간이야말로 존경을 받을 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서양인의 이런 태도는 원죄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 개념은 자유를 앗아갈뿐더러 우리를 위선자로 만든다. 그 이유는 이것이 전통적으로 제시하는 도덕 잣대가 사람들이 따르기에는 너무 까다롭기 때문이다. 중국은 서양과 다르다. 먼저, 도덕강령 자체가 부정적이라보다는 긍정적이다. 이들은 부모를 공경하고, 자식들에게 자애롭고, 가난한 친지들에게 베풀고, 모든 사람들을 깍듯이 대하라고 가르친다. 이런 것들은 실천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키게 되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키지 못하는 높은 잣대를 들이댈 때보다 나은 결과를 낸다. 원죄사상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또다른 현상으로 중국사람들은 서양인들보다 훨씬 편안한 심정으로 의견차이를 논쟁과 추론의 대상으로 삼는 점이다. 서양사람들에게 의견차이는 얼마 안가 원칙의 문제가 되어버려 상대방을 사악하게 여기며, 또한 그 사람의 주장을 인정하는 것이 그 사람이 가진 죄까지도 함께 인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 일반인들이 받아들이는 착함의 잣대는 세상을 더욱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잣대가 아니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가장 중요한 이유가 전통이며, 그 다름이 지배계층이 가진 부당한 권력이다. 원시도덕은 금기사상이 발전되어 나온 것으로 다시말해 도덕이란 원래 완전히 미신이었다.
- 우리는 각자가 개인적 공간을 인정해 주는 것을 배워야 하며, 상대에게 자신의 도덕적 잣대를 들이밀어서는 안된다. 경건주의자들의 문제는 자신들의 도덕적 잣대가 유일한 잣대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다른 시대와 공간에 사는 이들이 심지어는 같은 공동체 안의 집단도, 자신의 잣대만큼이나 똑같이 중요하지만 다른 잣대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불행히도 경건주의자들은 자기부정의 자연수런 결과로 생긴 권력욕으로 인해 다른 집단 사람들에 비해 남을 지배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다.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씽킹  (0) 2015.02.22
우리가 사는 사회의 이해 상징  (0) 2015.02.22
애덤 스미스  (0) 2015.01.24
위대한 생각의 발견  (0) 2015.01.24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현자 마키아벨리  (0) 2015.01.18
Posted by dal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