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기업 또는 민간기업의 대부분은 SWOT분석을 많이 이용. 그러나 많은 조직들이 자사의 사업에 영향을 주는 기회/위협 요인과 자사의 강약점을 지나치게 열거함으로써 과제의 우선순위 구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음. 그러나 유수 컨설팅사는 PEST/3C/비즈니스 시스템 분석을 통해 조직이 당면한 주요 전략과제들을 먼저 제시. 이때 경영진에게 한장으로 요약, 제시할 경우 크로스 SWOT분석표를 이용
- 문제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목표와 현상의 차이. 여기서 목표는 달성하고자 하는 기대수준 또는 바람직한 상태이며, 현상은 실제의 모습 또는 이대로 방치할 경우 예상되는 상태로서, 이 두상태의 차이를 문제라고 부름. 이때 핵심은 목표와 현상의 차이를 숫자로 파악하는 것. 그리고 숫자로 파악된 차이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나 행동이 수반되는 순간부터 이 문제를 과제라고 부름
- 발생형 과제는 과거 시점에 이미 발생한 과제로서, 조직이 제시한 목표를 지금까지 달성하지 못한 과제. 조직이 달성하고자 제시한 목표수준과 현상수준과의 차이에 대해 미달원인을 분석해야 하므로 원인분석형 과제라고도 부름. 이 과제에서는 정확한 현상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 현업에서 우리가 흔히 직면하는 발생형 과제는 수익, 매출, 시장점유율, 품질, 생산성, 비용, 납기 등 수없이 많다. 설정형 과제는 예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과제로서, 먼저 바람직한 모습을 찾아낸 뒤 현재의 모습을 현상에 대비시켜 차이점을 찾아야 함. 이 유형이 예로는 신사업, 신시장, 신제품의 개발과 개척, 새로운 시스템 도입 등. 따라서 이 과제들은 기획창조형 과제라고도 부름. 이 과제에서는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함 모습의 목표설정이 열쇠가 됨
- 발생형 과제는 문제분석 단계에서 과제의 핵심 문제에 대한 원인분석과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개별과제들을 도출하는 원인분석을 해야 함. 예컨대 제조현장의 경우 사전에 정해진 계획이나 목표기준에 대해 현상이 어떻게 이탈되었는지 확인하고, 목표미달 원인을 찾아내서 이를 해결과제로 삼는다. 반면에 설정형 과제는 과제의 바람직한 모습을 규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성공조건들을 찾아내야 함. 그리고 찾아낼 성공조건들과 현상을 비교하여 해결과제들을 도출.
- 일반적으로 비즈니스맨들은 어떤 과제를 맡으면, 과제와 관계가 있을 듯한 것은 모두 포함해서 말단 중심으로 분석하는 경향이 강함. 그러다보면 관련정보 수집과 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시간내에 납기를 맞추지 못하거나, 꼭해야 할 분석을 놓치는 경우가 많음. 이를 악마의 사이클이라 부른다. 이와 달리 처음부터 주어진 과제에 대해 MECE에 의한 이슈구조 분석중심으로 접근하면, 항상 전체적 관점에서 생각해야 할 이슈들을 찾아냄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분석해야 할 핵심이유를 선정할 수 있음. 그리고 분석에 앞서 핵심이슈에 대한 해답인 가설을 먼저 설정하여, 그것을 검증하기 위한 최소한의 분석만 실시하면 됨. 즉 효율적이고 효과적 분석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슈분석은 문제(이슈)구조 파악과 핵심이슈 선정이라는 두단계의 하위 프로세스로 구성됨
- 정보분석이란 가설검증계획서의 분석항목을 중심으로 수집한 정보을 이용해 차트를 만들어가는 작업. 즉, 여기서 구체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왜 그렇게 되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는 수준까지 논리적을 사고하면서 답을 찾기 위해 관련 정보를 찾아내고 또 차트화해 가는 연속과정. 따라서 팀은 분석한 차트 한장 한장 보면서 이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과제의 문제점 또는 핵심원인은 무엇인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향후 해결방안이나 해결 타개책이 무엇인가?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함. 만약 이런 질문에 답할 수 없는 분석자료라면 단지 참고자료에 불과. 가설검증계획서는 해결 타개책이 눈에 보일 때까지 반복해서 수립해야 함. 이런 초기가설들은 사실에 근거해서 검증한 후, 검증된 사실에 입각해 초기가설을 수정하거나 구체화해야 함. 그리고 수정된 가설을 보면서 "이 가설에서 더 구체적인 문제점은 무엇일까?, 이 가설의 구체적 핵심원인은 무엇인가? 수정된 가설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분석해야 할 이슈는 무엇인가? 등을 체크해서, 2차 가설검증계획서를 작성해야 함.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도전과제의 문제점이나 원인에 대한 해결책이 눈에 보일때까지 반복해야 함
- 프로젝트 결과 평가시 고려사항
* 바람직한 상태가 달성되었는가?
* 문제가 재발하지 않을 것을 확신할 수 있는가?
* 사전에 목표한 납기, 비용 등을 계획대로 지켜졌는가?
* 혹시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았는가?
* 해결책이 주는 임팩트는 무엇인지 확인했는가?
* 해결의 결과에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는가?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기업혁신 매뉴얼  (1) 2016.06.19
식스 디서플린의 실행혁명  (0) 2016.06.19
그들이 시장을 뒤흔든 단 한가지 이유  (0) 2016.06.19
컨트라리언 전략  (0) 2016.06.18
이것이 혁신이다  (1) 2016.06.15
Posted by dalai
,